본문 바로가기

Open menu

홈페이지 본문

유방암

발생부위
유방은 기름샘이 변형된 것으로서 피부의 한 부속 기관입니다. 젖을 분비하는 샘인 유선(젖샘)과 젖을 유두(젖꼭지)로 운반하는
유관, 그리고 지방 조직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유선은 두 번째 늑골(갈비뼈)과 여섯 번째 늑골 사이, 좌우로는 복장뼈(흉골, Sternum)와 겨드랑이 중심선 사이에 분포합니다.
유방의 주요 기능은 출산 후의 수유로, 아기의 성장에 필수적인 영양을 공급합니다.
유방암의 정의와 종류
유방암이란 유방 밖으로 퍼져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악성 종양입니다. 발생 부위에 따라 유관과 소엽(小葉) 같은 실질(實質)조직에 생기는 암과
그 외의 간질(間質)조직에 생기는 암으로 나뉘며, 유관과 소엽의 암은 암세포가 주위 조직으로 퍼진 정도에 따라 다시 침윤성 유방암과
비침윤성 유방암으로 나뉩니다. 남성의 유방암은 여성 유방암의 1% 이하로, 침윤성 유관암이 가장 많이 발견됩니다.
유방암의 위험요인과 예방 위험요인

유방암의 위험요인으로는 우선 비만, 음주, 방사선 노출, 유방암 가족력 등이 있고, 호르몬과 관련해서는 이른 초경, 늦은 폐경, 폐경 후의
장기적인 호르몬 치료, 모유 수유를 하지 않거나 첫 출산 연령이 늦은 것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일반적 증상

초기에는 대부분 아무런 증상이 없으며, 유방의 통증은 초기 유방암의 일반적 증상이 아닙니다(사실 대부분의 유방 통증은 유방암과 관련이 없습니다).
당사자가 암을 의심하게 되는 가장 흔한 계기는 유방에서 멍울이(즉 덩어리가) 만져지는 경우 입니다.
그 밖에 유두에서 피가 섞인 분비물이 나올 수 있으며, 암이 진행되면 유방 피부가 오렌지 껍질처럼 두꺼워지기도 합니다.

진단 방법

유방의 병소는 자가검진과 임상 진찰, 방사선 검사(유방촬영술, 유방초음파), 조직검사(생검) 등으로 진단합니다.
유방에서 멍울이 만져진다고 해서 모두 유방암은 아니며 섬유낭성 질환, 섬유선종 따위의 양성 질환인 경우가 더 흔합니다.
유방암으로 진단이 되면 수술 전 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자기공명영상(MRI), 전산화 단층 촬영(CT), 뼈스캔(Bone scan), 양전자 방출단층촬영(PET)등의
검사를 필요에 따라 시행합니다.

유방암의 치료 치료방법

유방암 치료의 주축은 수술과 약물요법, 방사선치료입니다. 아주 초기의 유방암을 제외하고는 수술 후에 항호르몬요법이나 항암화학요법,
혹은 둘 다를 시행하게 되는데, 어느 것까지 할지는 환자의 연령과 폐경 여부, 종양의 크기, 겨드랑이 림프절로의 전이 정도, 환자의 건강 상태 등을
두루 감안하여 의사가 정합니다. · 수술이 가능한 경우: (선행 항암화학요법→)수술 → 필요한 경우 항암화학요법 또는 항호르몬 요법 → 필요한 경우 방사선 치료

선행 항암화학요법은 종양이 클 경우에 먼저 그 크기를 줄여 놓고 수술을 하기 위해 시행하거나 또는 유방암이 초기 단계가 아니라 진행성 유방암으로
평가 되는 경우, 전신치료의 개념인 선행 항암 화학 요법을 수술 전에 시행합니다.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이 필요한 경우는 방사선 치료보다 먼저 항암 화학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방사선 치료는 유방 전체를 절제를 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절제하는 유방 보존적 절제술을 시행하는 경우에 잔여 유방 조직에 대하여 국소재발을 억제하기 위하여
시행합니다. 유방을 모두 제거한 환자의 일부에서도 방사선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항호르몬치료는 조직검사 결과 여성 호르몬에 반응하는 유방암으로 진단되는 경우에 시행하고, 최소한 5년을 사용합니다. 또한 조직검사 결과 허투 수용체
(Her2 receptor)와 같은 표적치료에 대한 수용체가 발달되어 있는 환자의 경우 수술 후 표적치료를 시행합니다.
다른 장기로 원격전이가 있어서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항암 화학치료와 항호르몬치료, 방사선 치료, 표적치료 등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고,
치료계획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결정됩니다.

치료의 부작용

수술 후에 올 수 있는 장기적인 부작용은 림프부종(浮腫)입니다. 항암화학요법의 가장 흔한 부작용은 탈모, 구역질(오심), 구토, 전신 쇠약,
백혈구 감소증(세균 등에 쉽게 감염), 혈소판 감소증(피가 쉽게 나며 잘 멈추지 않음), 조기 폐경 등입니다. 항호르몬 치료제인 타목시펜은 안면 홍조,
불규칙한 생리, 질의 분비물 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드물게 체액 저류(체액이 고임), 우울증, 피부 홍반 등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재발 및 전이

유방암이 전이되는 부위로는 뼈가 가장 많고, 이어서 폐, 간, 중추신경계의 순입니다.
기존치료와 함께 고주파온열암치료를 병행하고 면역주사치료와 식이요법을 통해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재발율을 낮추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